글로벌 기업 성장 비교, 한국은 정체·중국은 폭발적 증가
최근 10년간 세계 주요 기업들의 성장 흐름을 분석한 결과, 중국 기업들의 성장 속도가 한국보다 6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경제 전문지에서 매년 발표하는 ‘글로벌 2000’ 기업 데이터를 토대로 대한상공회의소가 집계한 결과다.
2015년부터 2025년까지 ‘글로벌 2000’에 포함된 기업 수를 살펴보면 중국은 180곳에서 275곳으로 약 53% 늘었다. 같은 기간 한국은 66곳에서 62곳으로 오히려 줄었으며, 미국은 575곳에서 612곳으로 소폭 증가했다.
매출 성장률은 격차가 더 컸다. 한국 기업들의 합산 매출은 1조5000억 달러에서 1조7000억 달러로 약 15% 증가에 그쳤지만, 중국 기업은 4조 달러에서 7조8000억 달러로 95%나 뛰었다. 미국 기업들도 11조9000억 달러에서 19조5000억 달러로 63%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중국 기업 성장 속도는 한국의 6배를 넘는 수준이었다.
중국은 알리바바, BYD, 텐센트 등 IT와 첨단기술 기업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다. 예컨대 알리바바그룹은 2015년 약 115억 달러 수준이던 매출이 2025년에는 1360억 달러 이상으로 늘었다.
미국은 인공지능과 플랫폼 기업들이 주도했다. 엔비디아는 같은 기간 매출이 약 47억 달러에서 1300억 달러를 넘어섰고,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280% 이상 증가했다. 테슬라와 에어비앤비 같은 신생 혁신기업들의 시장 진입도 활발했다.
반면 한국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등 전통적 대기업이 여전히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금융지주사들의 비중이 커 4대 금융그룹이 상위 10위권에 모두 이름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순위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했지만, 10년간 매출 성장률은 13% 수준에 머물렀다.
대한상의는 한국 기업 생태계가 “성장할수록 규제가 늘어나는 구조”라며 제도적 문제를 지적했다. 실제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커질 때 적용되는 규제가 90여 개, 대기업이 되면 300개 이상으로 급증한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비율은 연간 0.04%, 중견에서 대기업으로 올라서는 비율도 1~2%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미국과 중국은 다양한 업종에서 신생 강소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해 글로벌 무대에 진입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의 역동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규제를 완화하고 성장 기업에 보상을 주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한국도 미국이나 중국처럼 성장형 프로젝트와 혁신 기업에 자원을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며 “성장하는 기업에 규제가 아닌 보상을 주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